BI 시장, BPM·BRE와 접목 활발
툴 중심 벗어나 애플리케이션으로 중심 이동
고객요구 다양화·신기술 출현에 대응
최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시장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OLAP 및 리포팅 등을 위주로 한 기존 툴 중심의 시장이 점차 균형성과지표(BSC)나 경영계획(플래닝&버지팅) 등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되고 있다.
또 일부 대기업 및 금융권의 경우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한 경고기능(BAM, Business Activity Moni toring)까지 구현을 고려하는 등 BI 시장 영역이 크게 넓어지고 있다.
이 같은 BI 확산에 대해 관계 전문가들은 ‘다양해진 고객의 요구’와 ‘신기술의 출현’을 주요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 다양해진 요구와 신기술이 원인 = 다양해진 고객의 요구의 경우 현 시점에서 데이터웨어하우스(DW)를 비롯한 OLAP, 리포팅 툴 등 BI 인프라와 툴의 도입이 상당부분 이뤄져 이제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있는 시점이라는 것이다.
분석된 내용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요구가 있고 그 과정에서 분석내용의 개인화와 협업을 가능케 하는 ‘BI 포털’에 대한 요구가 일반화되고 있다.
신기술의 경우는 EAI 및 ETL 등 데이터 통합 기술의 진보가 기업 내 산재된 데이터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점차 DW에 존재하는 정형(Structured) 데이터는 물론 프로세스에 존재하는 비정형 데이터의 분석과 통합까지 가능해지는 상황으로 가고 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해 최근에는 BI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의 연계가 중요해지고 있고 비즈니스 룰 엔진(BRE)과의 접목 역시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BI와 BPM의 접목은 아직 논의가 시작되는 단계로 분석 내용을 실제 비즈니스에 최대한 반영하려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시간 기업(RTE)이 지향하는 모습과 일맥상통하는 모습으로 진행되고 있고 실시간 모니터링 등이 그 구체적 방안으로 관심을 모아가고 있다.
현 국내 시장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은 비즈니스 활동 모니터링이라는 영역으로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다.
BAM은 비즈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해 적절한 대응을 취하자는 개념이다. 최근 BPM 공급업체들은 BPM 글로벌 표준(BPEL) 준수를 기반으로 하여 BAM 영역의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 BI의 한계 보완 = 비즈니스 룰 엔진의 경우 가장 구체적인 변화상을 보여주고 있다. 비즈니스 룰은 BI에서 룰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이라는 점과 정보의 적시성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고 있다. 또 기간계 시스템의 정보 활용이라는 측면 역시 새롭게 부각되는 측면이다.
최근 제일화재가 새로 개통한 장기상품배서시스템에 BRE를 적용했다.
이는 보험사 기간계 핵심시스템인 상품시스템에 BRE가 적용된 첫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사례가 출현한 만큼 BRE의 기간계 확산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제일화재 사례를 확보한 코리아엑스퍼트 역시 올해 차세대 시스템 착수가 예상되는 현대해상, 신동아화재 등을 적극 공략해 기간계로의 확산을 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BI의 이런 변화는 그 동안 BI가 안고 있던 치명적인 한계, 즉 과거에 이미 발생한 일을 근간으로 향후 미래의 의사결정에 의존한다는 측면을 보완할 수 있어 BI의 진일보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업체들은 BI 시장의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최악의 상황이라도 ‘시장이 나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시장의 경우 3~4년 전부터 BI 인프라에 대한 재구축 요구가 존재했었고 데이터 통합 및 분석 정보의 활용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2005년 5월 23일 한국금융신문 송주영기자
Comments